반응형

요약

: 면접은 본인 자랑을 근거로 포부를 발표하는 자리이다.

 

서류전형을 합격하고 면접전형을 준비하는 우리는 알 수 없는 긴장감에 빠지곤 합니다. 또한, 어떠한 질문이 나올지 여러 케이스를 연구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각기 준비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때, 행인은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면접 질문 별로 답변을 각각 준비하기보다 면접 답변에도 공식을 만들면 효율적으로 면접을 준비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와 같은 생각을 통해 행인만의 면접 공식을 만들었고, 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아래에 설명하겠습니다.

 

면접 답변에도 공식이 있다!? (feat 자기자랑 + 포부)

행인이 제시하는 면접 답변의 공식은 “자기자랑 + 포부”입니다. 면접관들의 질문에 본인의 자랑을 먼저하고, 이후 앞으로의 포부를 함께 말한다면, 논리적인 답변이 가능할 것이고, 면접관들을 설득하는데 수월할 것입니다.

바로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질문

: 그동안 업무를 하면서 성과를 이룬 경험을 말씀해주세요.

- 답변

공식1) 자기자랑: , 저는 인사업무를 수행하며, 한 회사의 인사제도를 개정하고 신규 제도를 제정하여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한 회사운영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였고, 나아가 회사 실정에 맞는 여러 가지 기준을 마련하여 사측, 노측 모두의 만족을 이끌어 낸 경험이 있습니다. (보통은 여기까지 답변하고 끝맺음 지을 것입니다.)

공식2) 포부: 이와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지원한 회사에서도 규정들을 숙지하여, 빠른 적응을 통해, 실정에 맞지 않는 규정들을 개정하고, 나아가 필요한 규정들 또는 기준들을 마련하여, 기업에서 원하는 인사담당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면접 답변 공식으로 면접 준비를 효율적으로 하자

위 사례를 보고, 위와 같이 답변하는 지원자를 채용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셨나요? 아마 많은 면접관들이 자기자랑만하고 끝내는 지원자보다는 자기자랑을 근거로 지원한 회사에 어떻게 적용할지까지 함께 말하는 지원자를 선호할 것입니다.

이에, 면접 준비를 하는 저의 독자분들도 면접 준비시 긴장하지 마시고, 제가 제시하는 면접 답변 공식을 잘 외워, 대입하며 면접 준비를 한다면, 합격률을 대폭 상승시킬 수 있을거라 확신합니다.

 

 

이 글이 공감이 되셨다면 공감버튼을 꾹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행인(行人)
,
반응형

요약: 행정이란 행정부가 사회 전체의 가치배분을 위해 행정환경과 상호 작용하면서 행하는 관리, 정치 그리고 정책개념이 엇물린 포괄개념이다.

이러한 행정학 이론의 공부를 통해 인사직무에서 응용하여 성장하는 인사담당자가 되고자 한다.

 

1. 행정학의 역사

행정의 전통적 의미는 관리입니다. 관리로서의 행정은 조직의 정책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자원들을 조작 및 조직화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체계화하는 것입니다.

 

다만, 그에 앞서 행정학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인물, 미국의 전직 대통령이자 행정학의 아버지인 W.Wilson(우드로 윌슨)으로 행정학의 역사를 설명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W.Wilson의 논문 The Study of Administration (행정의 연구)로 행정학이 시작되었습니다. 인사제도 개혁 및 행정시스템의 효율화에 대한 고민이 담인 행정의 연구 논문은 정치 행정 이원론인, 정치로부터 행정의 독자성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W.Wilson의 논문 이전 유럽에서는 행정학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 관방학이 주도하고 있었습니다. 관방학이란 농업, 임업, 재정학, 경제학 등의 정책 영역을 포괗라고 있으며, 정부의 공식적 기구와 기능 및 정부 관료의 업무와 행동윤리 등에 중점을 둔 학문입니다. 이러한 관방학은 당시 절대군주를 보좌하는 관방관리들에게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이었기 때문에 절대군주제의 몰락과 함께 소멸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에 W.Wison은 관방학에 맞선 주장을 논문을 통해 펼쳤습니다. 이를 계기로 행정학은 단순히 전통적인 통치과 권력 개념에서 이해되던 정부의 범위를 정치, 관리, 정책을 비롯하여 한 조직의 전방위적인 관리, 행정System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범위로 확대 시켜주는 학문으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2. 행정학의 세부분야

행정학은 현대 정말 많은 분야로 파생되고 있습니다.

큰 주제로는 행정이론, 행정학 방법론, 조직론, 인사행정, 재무행정, 정책 및 기획론, 행정관라, 지방자치 및 행정, 세부분야 별 행정 및 정책 등이 있습니다.

 

카테고리 마다 설명을 드리기보다는 앞으로 제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인 조직론, 인사행정, 재무행정 중심으로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조직론의 경우 조직기본이론, 관료제, 조직행태, 의사전달, 인간관계, 리더십 등을 중심으로 공부할 예정이며, 인사행정의 경우 인사행정 기본이론, 인사제도, 복리후생, 채용 및 승진, 교육훈련으로 공부할 계획입니다. 또한 재무행정의 경우 재무행정 기본이론, 예산제도, 예산과정, 재정정책, 자원관리 행정 등의 분야로 공부하여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주제로 저의 전공에 대한 복습과 심화과정으로 나아가기 위해 행정학을 택하였습니다. 또한, 행정학에 대해 관심 있는 분들이 제 글을 보고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독자님들의 공감은 글을쓰는 원동력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참고문헌 - 

김문성, 행정학.net, 박영사, 2009

김성민. "한국 행정학의 연구경향 : 2008-2012."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3. : 30

네이버지식백과, 관방학,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5731&cid=42155&categoryId=42155

반응형
Posted by 행인(行人)
,
반응형

요약: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 인사직무에 대한 막연한 이미지의 구체화

 

1. 인사직무란?

인사직무는 기업의 비전을 바탕으로 삼아 기업의 모든 활동의 실행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 인사직무의 핵심 업무는 인적자원의 역량강화를 제고하는 것입니다.

핵심 업무 달성을 위해 인사파트에서는 우수인력의 확보 및 보존 역할과 일하기 좋은 기업 문화형성을 위해 노력합니다.

 

나아가 구성원들의 실적에 대한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업에 적합한 평가 제도를 수립하며, 이와 연계하여 보상시스템 구축까지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사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조직이 될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합니다.

 

이러한 역할 및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기업 내 모든 파트와의 교류를 통해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및 피드백을 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며, 우수 인재 확보 및 유지 방안 마련과 더불어, 조직 전체를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시야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인사직무는 기업이라는 조직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당 부분 지원을 하며, 환경에 맞는 제도의 수립을 통하여 급변하는 외부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조직을 대표하여 감시자의 역할을 통해 기업 내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리스크 파악 및 이를 감소시키는 역할까지 하여 조직 내의 모든 부분에 관여하는 역할까지 맡고 있습니다.

 

 

2. 인사직무의 막연한 인기

기업의 규모를 떠나 인사팀 또는 인사담당자의 채용공고에 적게는 수십 대 일에서 많게는 수백 대 일까지 경쟁률을 보일만큼 인사직무의 인기는 높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주변 인사직무를 원하는 지원자들에게 왜 인사직무를 하고싶니? 라고 물으면 멋있잖아요”, “기업 내에서 힘이 셀 것 같아요등의 막연한 대답을 하곤 합니다.

 

물론 본인이 생각하기 나름이지만, 위와 같이 막연한 생각으로 인사직무에 들어온다면 오래 못 버틸 가능성이 커집니다. 하지만 이유를 불문하고 인사직무가 인기 있는 것은 사실이니 적어도 제 글을 읽으신 분들만큼은 타 지원자들보다 좀 더 현장의 시야를 갖추며 인사직무를 준비하셨으면 좋겠습니다.

 

 

3. 향후 "인사직무 이야기"의 방향

인사직무 이야기 카테고리에서는 인사직무에 대한 막연한 이미지를 구체화 시켜드릴 수 있는 글을 쓸 것이며, 제가 왜 인사직무를 선택했는지, 현재 인사직무에 대한 생각은 무엇인지, 인사직무의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에 대한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님들의 인사직무 준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독자님들의 공감은 글을쓰는 원동력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행인(行人)
,